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ubuntu tomcat

 

 

컨트롤러 ide에 ubuntu 파일 올려준다.

 

 

 

호스트 IP는 cmd창에서 사용하고 있는 IP작성 하고 게스트 IP를 우분투에서 ip addr명령어로 확인 후 맞춰 줍니다.

네트워크를 더블클릭후 NAT 네트워크로 설정해줍니다.

PuTTy에 호스트IP(사용 하고 있는 PC IP)를 설정

PuTTy실행

Accept 버튼을 누르면 PuTTy 연결 확인 완료

지운 부분에 ip가 표시 됩니다.

MobaXterm을 실행 하고 Session버튼 클릭후 SSH에서 Remote host에 hostIP(사용 하고 있는 PC IP)를 넣어줍니다.

MobaXterm 설정

연결이 완료 되면 sudo apt-get update

연결이 완료 되면 sudo apt-get upgrade

연결이 완료 되면 sudo apt-get install net-tool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install net-tools

자바가 다운 되어 있지 않으면 자바다운 리스트를 밑에서 확인 할수 있습니다.

자바 버전 확인

톰캣 설치 sudo apt-get install tomcat9 -y

sudo apt-get install tomcat9 -y

실행 후 -> 상태 확인 해줍니다.

sudo systemctl start tomcat9 -> sudo systemctl status tomcat9

자바 경로가 잡혀 있지 않아서 실행이 되지 않습니다.

톰캣 상태 확인

#으로 주석이 되어있는 것을 삭제 하고 자신의 버전에 맞게 숫자를 바꿔줍니다.(저는 8 -> 16)

sudo nano /etc/default/tomcat9

nano 종료 하는법 : ctrl + x >> y ~>> ENTER

자바 경로 설정

실행 후 -> 상태 확인 해줍니다.

sudo systemctl start tomcat9 -> sudo systemctl status tomcat9

실행 성공(active)

자신의 IP주소:8080으로 들어가서 확인해줍니다.

자기주소:8080

 

mysql 다운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 실행

sudo systemctl start mysql

mysql 접속

sudo /usr/bin/mysql -u root -p or sudo mysql -u root -p

 

사용할 db, 테이블 생성

다른 계정 생성 후 권한 주기(workbench 연결까지)

사용할 user를 검색

use mysql; select user, host form user;

계정생성

create user test3@'%' identified by '1234';

권한주기

grant all privileges on db01.* to test3@'%' with grant optioin;

flush privileges

계정생성 및 권한 주기

workbench 연결

허용 경로 까지 가야함

cd /etc/mysql/mysql.conf.d/ sudo nano mysqld.cnf

경로 찾아서 들어가기

사용할 포트 번호로 수정

port 는 사용할 번호로 수정

bind-address 는 주석하거나 0.0.0.0
mysqlx-bind-address 주석

port와 bind-address수정

우분투 mysql 포트 열어주기

sudo ufw allow out 3306/tcp
sudo ufw allow in 3306/tcp

포트포워딩에 사용할 포트 추가

7777로 사용했기 때문에 추가 해줬다.

mysql 재실행

sudo service mysql stop
sudo service mysql restart

root 계정이 아닌 경우 권한주기

sudo chmod -R 777 /var/lib/tomcat9/webapps

sudo chown -R tomcat:tomcat /var/lib/tomcat9/webapps